전체보기 29

한글 HWP 편집 시 문단 줄 간격 빠르게 조정하기

지난 번에 말씀드린 자간 조정하기에 이어 이번에는 [줄 간격 조정하기] 를 알려드립니다. (블록 지정 상태에서) Shift + Alt + Z : 줄 간격 넓게 Shift + Alt + A : 줄 간격 좁게 시험문제를 편집하다보면 문제가 중간에서 잘리거나 답지가 넘어가는 경우가 생깁니다. 한 문제를 통으로 넘기자니 빈 공간이 너무 남아서 애매한 경우가 있죠. 그럴 때는 지문이나 해당 쪽의 문제와 답지의 줄 간격을 조정하면 크게 거슬리지 않으면서 한 페이지 안에 담을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선 줄여야하는 부분을 마우스나 커서로 블록 설정해주시고, 단축키를 한번씩 눌러주시면 됩니다. 한 번 누를때마다 넓어지거나 좁아지니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습니다. [Alt + T]를 누르고 문단모양에서 줄간격을 직접 ..

한컴 PDF로 각종 자료 PDF로 변환하기

+(2015.04.02) 한글 PDF 설치를 위해 방문하시는 분들이 많아서 내용을 추가했습니다) 학교에서 문서 작업을 하다보면 지금 출력하진 않지만 인쇄하면 어떻게 나올지 확인해보고 싶을 때가 있죠. 그리고 무엇보다 아이패드 등 태블릿을 활용하시는 선생님이라면 수업이나 학생상담 때 PDF 파일이 편리할 때가 많습니다. 제가 볼 자료는 아이패드로 보면서 수업을 하고 메모가 필요한 자료라면 화면에 띄워놓고 밑줄로 표시를 하면서 진행하죠. 이 때 가장 요긴하게 사용하는 프로그램이 Hancom PDF 입니다. 거의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공문 처리와 일괄 배분 때문에 자의든 타의든 한/글 HWP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계실 겁니다. 처음 설치할 때 특별히 옵션을 건드리지 않으셨다면 Hancom PDF도 같이 설치됩니다..

한글 HWP 편집 시 튀어나온 글자 조정하기

시험문제를 편집하다보면 이렇게 꼭 두어 글자가 튀어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만 다음 줄로 넘어가는 경우도 있구요. 글자크기를 줄이거나, 다른 단어로 바꿀 수도 있겠지만 크기를 바꾸면 전체 모양이 흐트러지죠. 여간 신경쓰이는 게 아니죠? ㅜ_ㅠ 제 성격상 저런 부분이 있으면 기어이 정렬을 해버립니다. 이럴 때 '자간'을 조정하면 예쁘게 맞출 수 있습니다. [글자모양] 메뉴에서 자간을 직접 입력해도 되지만 저런 거 하나 고치자고 메뉴창을 열고 숫자를 넣고 확인을 누르는건 귀찮습니다. 그래서 전 단축키로 간단하게 해결합니다. ​Shift+Alt+W : 자간 넓게 Shift+Alt+N : 자간 좁게 W는 Wide, N은 Narrow로 기억하면 쉽습니다. 조정할 부분을 블록으로 선택하고(마우스로 긁거나 F..

한글 HWP 프로그램에서 문서 작성 시 유용한 팁

우선 제가 간단한 표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다양한 방법들이 있지만 저는 이렇게 만드는 편입니다. 일단 한 번 보시죠. [단축키 활용] 한글의 큰 장점입니다. 한글97 시절부터 단축키는 제대로 빛을 발하고 있는데 자주 쓰는 몇가지 단축키는 작업 능률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줍니다. 위에서 사용한 단축키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키는 동시에 누르고 , 뒤의 키는 이후에 누릅니다. 가령 Ctrl+N,T라면 Ctrl키와 N키를 동시에 누른 후 T키를 한번 더 누릅니다) ● Ctrl + N, T : 표 만들기 ● (표 만들기 메뉴에서) : Alt + D (완료) // 각 메뉴창에서 Alt키를 누르면 해당되는 단축키가 표시됩니다. ● F5 : 셀 지정 ● Ctrl+화살표 : 화살표 방향으로 표 전체 크기를 바꾸어 ..

한글 HWP 메일머지 라벨 활용해서 이름표 만들기

새학기가 시작되기 직전,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책상에 이름표를 붙이는 일입니다. 학년부에서 라벨지를 나눠주긴 하는데 라벨프로그램을 다운받아서 사용해보니 오히려 불편하기만 하더군요. 그렇다고 한글 프로그램으로 표를 만들자니 mm 단위로 조정하는 게 여간 불편한 게 아니었습니다. 매번 용지가 바뀌면 다시 만들어야하구요. 그러다 한글 자체 라벨양식이 있는 걸 알았습니다. 라벨 기능과 메일 머지 기능을 활용하면 이름표를 아주 간단히 만들 수 있습니다. 한 줄 요약 - 한글 HWP에서 라벨 양식 불러오기 후 데이터 파일을 열고 메일 머지 기능 실행 1. 데이터 파일 만들기 데이터 파일은 txt, hwp, xls 등의 파일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엑셀 파일로 저장하는 게 제일 편하긴 합니다. 보통 학기 시작 전에 ..

네이스 NEIS 한글 문서 오류 시 확인사항

업무포털에서 HWP 관련 작업 중 오류가 날 때가 있습니다. 특히 공문 작성 다하고 결재상신하려는데 이런 오류가 뜨면 난감하고 짜증나죠. XML 관련 오류나 기타 HWP 파일 관련 오류는 패치 업데이트와 유통필터 재설치로 대부분 해결됩니다. 한/글 프로그램 패치 업데이트를 해줍니다. 시작 버튼 > 모든 프로그램 > 한글과컴퓨터 > 자동업데이트 실행으로 업데이트하거나 한글과컴퓨터 홈페이지 자료실(http://hancom.com > 고객센터 > 다운로드 > 기타자료실)에서 본인의 버전에 맞는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해도 됩니다. 패치 후 해당 버전에 맞는 공문서 필터를 압축해제 후 실행해주면 됩니다. 아래 내용은 교육청 지원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내용입니다. ● 공문서 필터 적용 기준 버전 (2014.10.1..

NEIS 2015.02.28

하드디스크 파티션 합치기

파티션 나누기에 이어, 합치기도 해보겠습니다. 나눌 때의 역순입니다. 해당 파티션 영역을 지우고 기존 파티션 영역을 확장시키면 됩니다. 나누기와 달리 한쪽 파티션은 초기화되니 필요한 데이터는 다른 곳으로 옮겨두셔야 합니다. E드라이브를 삭제하고 두 파티션을 합쳐서 하나로 만드는 겁니다. 우선 디스크 관리를 실행해야겠죠? 시작 버튼 > 컴퓨터 우클릭 > 관리 > 디스크 관리 지우고자 하는 파티션에서 우클릭 후 볼륨 삭제 선택 경고 확인 후 [예] 확장하고자 하는 파티션 우클릭 후 "볼륨 확장" 선택 오른쪽 선택 화면에 방금 삭제한 볼륨이 나타납니다. 확인 후 [다음] 선택 끝! 탐색기에서 확인해보면 C: 하나만 나타납니다. 간단하죠? 처음 윈도우 설치할 때 파티션 한번만 나누어 놓으면 이 작업은 크게 필요..

윈도우 2015.02.25

하드디스크 파티션 나누어 사용하기

컴퓨터가 윈도우를 실행하고 자료를 저장하는 매체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하드디스크입니다. 최근에는 메모리 기술을 활용한 SSD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SSD가 훨씬 속도는 빠르지만 용량 대비 비용이 아직은 하드디스크보다 비싸기 때문에 대부분의 학교에서 사용하는 컴퓨터에는 하드디스크를 사용합니다. 예전에 비하면 용량이 많이 늘어서 테라바이트급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분들도 많을텐데 컴퓨터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이라면 자료보관을 고민하실 겁니다. 데스크탑이라면 2개 이상의 하드디스크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노트북에서는 대개 하나의 디스크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으니 백업하는 데에도 신경을 써야 합니다. 아마 대부분의 선생님들이 지급받은 최초 상태의 컴퓨터에는 하드디스크가 하나만 보일 겁니다. 또는 두 개 이상으..

윈도우 2015.02.25

학교에서 Dropbox 사용하기

(2016.01.29 업데이트)- 현재 일부 교육청에서 Dropbox 사용이 제한되고 있습니다. 교육청 문의 결과, 계속 이용하려면 따로 신청서를 제출해야한다는군요. 번거로워서 구글 드라이브로 갈아탔습니다. 학교에서 IT기술을 활용하기란 아직도 갈 길이 멀기만 하네요..- 구글 드라이브 (https://www.google.com/drive/)- 사용법은 드롭박스와 동일합니다.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하면서 클라우드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있습니다. 구글은 말할 것도 없고 네이버나 다음 같은 국내 대형 포털에서도 제공하고 있구요. 저도 이것저것 사용해보다가 지금은 드롭박스(Dropbox)를 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내가 클라우드와 동기화할 폴더를 고를 수 있다는 게 저에게는 가장 큰 매력이었죠. 그리고 ..

유틸리티 2015.02.06

가볍고 빠른 PDF 프로그램 Sumatra PDF

최근 학교에서도 PDF 파일을 자주 다루게 되었습니다. 아이패드에서 활용하기위해서 다른 문서를 PDF로 변환하는 경우도 많아졌고, 학생들도 PDF 파일을 예전보다 많이 사용하더군요. 대학에서도 HWP와 PDF를 함께 제공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Adobe reader 로만 사용하다가 언젠가부터 무거워지기 시작해서 Foxit reader를 사용했었습니다. 그런데 버전이 올라가면서 예전 같지 않은 것 같아 최근에 사용하게 된 프로그램이 Sumatra PDF 입니다. Sumatra PDF Download 제일 자주 열어보는 EBS 교재 파일도 빠르게 열립니다. 저 파일이 아이패드에서 쓰려고 다시 압축하기도 할 정도로 무거운 파일인데 Sumatra PDF에서는 간결하게 열리더군요. 강력하고 다양한 기능은 미흡하지..

유틸리티 2015.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