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틸리티/한글HWP 팁

한글 HWP 프로그램에서 문서 작성 시 유용한 팁

와방 선생 2015. 3. 9. 09:44

우선 제가 간단한 표를 만드는 방법입니다. 다양한 방법들이 있지만 저는 이렇게 만드는 편입니다. 일단 한 번 보시죠.

 

[단축키 활용]

한글의 큰 장점입니다. 한글97 시절부터 단축키는 제대로 빛을 발하고 있는데 자주 쓰는 몇가지 단축키는 작업 능률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줍니다. 위에서 사용한 단축키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키는 동시에 누르고 , 뒤의 키는 이후에 누릅니다. 가령 Ctrl+N,T라면 Ctrl키와 N키를 동시에 누른 후 T키를 한번 더 누릅니다)

 

 ● Ctrl + N, T : 표 만들기

 (표 만들기 메뉴에서) : Alt + D (완료)

      // 각 메뉴창에서 Alt키를 누르면 해당되는 단축키가 표시됩니다.

 F5 : 셀 지정

 Ctrl+화살표 : 화살표 방향으로 표 전체 크기를 바꾸어 해당 열/행의 크기를 바꿉니다.

 Alt+화살표 : 화살표 방향으로 해당 열/행의 크기를 바꿉니다. (전체 표 크기는 고정)

 Shift+화살표 : 화살표 방향으로 해당 셀의 크기를 바꿉니다. (해당 셀만 바뀜)

 (F5 키로 셀 지정 후) T,L : 표의 선 모양 메뉴를 불러옵니다.

 (표 안에 커서 위치)  Ctrl + N, K : 표의 속성창을 띄웁니다.

 Alt+T : 문단 모양창 불러오기

    (문단모양창에서) Alt + C : 가운데 정렬 선택

 

이 외에도 한글에서 자주 사용하는 기능은 단축키를 알아두시면 좋습니다. 프로그램 실행 후 도움말(F1키)을 보시면 '단축키 일람'이 있으니 시간 있을 때 주욱 살펴보면 참고가 되실 겁니다. 단축키는 여러 개를 연속으로 섞어서 사용가능합니다. 가령 '가운데 정렬'의 경우, 도구 모음에서 [가운데 정렬] 아이콘을 눌러도 되고, Alt+T(문단 모양 불러오기), Alt+C(가운데 정렬 선택), Alt+D(완료)를 해도 됩니다.

 

 

[개체 속성 알아두기]

한글에서 그림, 이미지, 표 등 텍스트 이외에 문서에 삽입되는 요소들을 '개체'라고 합니다. 이 개체들은 공통된 특성이 있고 이를 조정하면 문서 편집 시 좀 더 예쁘고 본인의 취향대로 꾸밀 수 있습니다. 먼저 표를 기준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직접 해보시면 금방 감을 잡으실 겁니다. 말로 설명하려니 조금 복잡한데 몇 번 해보시면 어떤 의미인지 아실 겁니다.

 

 글자처럼 취급하기 : 문단 정렬 등을 적용할 때 글자처럼 표를 정렬합니다. 저는 키보드 단축키를 자주 사용하는데 그럴 때 편리합니다. 표 바로 뒤에 커서를 두고 Alt+C를 누르면 가운데 정렬이 되는 식입니다. 여백 등도 문단의 영향을 받습니다.

 

 위치(글자처럼 취급하기 해제 상태에서)

  ㆍ어울림 : 표 위치의 양옆으로 글자를 적절히 배치해줍니다.

  ㆍ자리차지 : 표의 양옆에 글자를 배치하지 않습니다.

  ㆍ글 앞으로 : 글의 앞으로 표를 배치합니다. 보통 이미지를 배치할 때 많이 사용합니다.

  ㆍ글 뒤로 : 글의 뒤로 표를 배치합니다. 이미지 배경 등을 사용할 때 자주 씁니다.

 기준

  ㆍ종이 : 설정된 용지의 위치 기준입니다. 여백 설정은 무시됩니다.

  ㆍ : 설정된 쪽의 위치 기준입니다. 편집 용지(F7)에서 표시되는 쪽의 크기를 기준으로 합니다.

  ㆍ : 해당 단의 위치를 기준으로 합니다. 다단 편집 시 유용합니다.

  ㆍ문단 : 문단 안에서의 위치를 기준으로 합니다. (엔터를 누른 곳을 기준으로 한 문단으로 처리)

  ㆍ쪽 영역안으로 제한 : 기준 위치가 쪽 영역을 벗어나더라도 인쇄될 수 있도록 조정해줍니다.

 

 

[편집 팁]

 글자 모양, 문단 모양 등은 텍스트 입력 후 한꺼번에 수정한다

제목은 20포인트의 굵은 나눔고딕체로 하고 본문은 10포인트의 명조체로 표시하고 싶은 경우, 해당 모양을 미리 설정하고 입력하는 것보다 나중에 블록으로 감싸고 수정하는 편이 간편하고 오류가 적습니다.

 

 엔터와 스페이스바는 남발하지 않는다

가장 요긴한 팁일겁니다. 어떤 선생님들의 문서를 보면 매 문장 끝에 엔터를 치거나 들여쓰기를 할 때 스페이스바를 다다다다 눌러놓은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입력된 문서는 글자모양이나 문단 모양을 수정하려면 해당 부분을 일일이 수정하는 수 밖에 없습니다. 스페이스바는 띄어쓰기, 엔터는 문단(단락) 구분용으로만 사용하시고 나머지 모양은 편집 메뉴를 활용하는 편이 훨씬 예쁘고 수월하게 편집됩니다. 간격 조정은 편집 메뉴에서 여백을 통해서 한다고 기억하시면 되겠습니다.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다음에는 문서 편집에 대해서 예시와 함께 조금 더 자세히 다루어보겠습니다. 바쁘지만 유쾌한 새학기 새출발이 되시길 바라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