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에서 다른 선생님의 호출 1순위 이유가 프린터 설치입니다. 새 학기 준비를 위해 교무실을 옮기다보면 새로운 프린터를 설치해야하는 경우가 생기죠. 간단한 작업이니 올해에는 직접 해보시고 옆 선생님들께 가르쳐주세요. ^^
[준비하기]
1) 설치할 프린터의 모델명을 확인합니다. 보통 프린터의 앞면이나 뒷면에 로고와 함께 표시되어 있습니다.
2) 인터넷에서 메모해둔 모델의 프린터 드라이버를 다운로드합니다. 회사별로 사용하는 드라이버가 다릅니다. 처음 해보시는 분들이 여기에서 많이 헷갈려하시는데 네이버나 구글 검색창에서 '회사명 모델명 프린터 드라이버'로 검색하고 해당 사이트에서 찾으시면 수월합니다. (검색어 예: 삼성 프린터 드라이버, 캐논 프린터 드라이버, 캐논 lbp3300 프린터 드라이버 등)
3) 다운받은 파일을 설치합니다. 회사별로 다른데 어떤 곳은 프린터 추가까지 한번에 끝낼 수 있게 해줍니다. 그런 프로그램을 받으셨다면 이 다음의 과정은 생략해도 됩니다. 그냥 압축만 풀어지고 아무 변화가 없다면 다음 순서에 따라 설치하면 됩니다.
[설치하기]
시작 메뉴 > 장치 및 프린터 클릭
[프린터 추가] 클릭
여기서 나뉩니다. 직접 프린터선을 꽂으면 로컬, 인터넷선으로 연결하면 네트워크입니다. 아주 오래된 컴퓨터가 아니라면 거의 대부분의 학교에서는 네트워크 프린터를 사용하고 있을 겁니다.
로컬 네트워크를 선택하셨다면 이 화면에서 다음 클릭
네트워크를 선택하셨다면 잠시 기다리신 후 목록에서 설치하고자 하는 프린터를 클릭해서 선택하고 다음 클릭
이 화면이 뜨면 '디스크 있음'을 선택 후 [준비하기]에서 설치했던 폴더를 골라주면 됩니다.
이후 과정은 큰 문제없이 [다음] 버튼을 선택하면 됩니다. 완료 후 처음에 본 '장치 및 프린터' 화면에 프린터가 새로 등장했다면 성공한 것입니다. 더욱 확실히 확인해보시려면 새로 설치된 프린터 아이콘 위에 오른쪽 클릭 > 프린터 속성 화면에서 '테스트 페이지 인쇄'를 해보시면 됩니다.
네트워크 프린터 추가 시 간혹 공유기나 기타 문제로 자동으로 화면에 잡히지 않는 경우가 있더군요. '원하는 프린터가 없습니다' 클릭 후 [TCP/IP 주소로 추가] 에서 프린터의 IP주소를 직접 입력해주면 제대로 연결될 겁니다.
'윈도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P주소가 충돌했습니다? (0) | 2016.01.30 |
---|---|
하드디스크 파티션 합치기 (0) | 2015.02.25 |
하드디스크 파티션 나누어 사용하기 (2) | 2015.02.25 |
간편하고 유용한 윈도우 단축키 (0) | 2015.02.05 |
업데이트 중 컴퓨터 끄지 않기 (0) | 2015.01.30 |
내 컴퓨터는 내가 지킨다 (0) | 2015.01.30 |